TOP에 아래 코드블럭에 쓰인 것처럼 정의해준다.
DEFINE _ranges.
CLEAR &1.
&1-sign = &2.
&1-option = &3.
&1-low = &4.
&1-high = &5.
APPEND &1.
END-OF-DEFINITION.
일반적으로 gr, lr_range를 선언하고 변수에 sign, option, low, high 값들을 필요할 때마다 선언해주는 것처럼 해도 문제없지만 위와 같이 선언해놓고 사용하면 최소 5줄 이상 나올 코드를 한 줄로 간소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.
그 후 범위 값을 넣어주려면 아래와 같이 사용하면 된다.
_ranges: gr_number 'I' 'BT' '1' '33'.
필요한 부분에 이 한 줄만 작성해 준다면 gr_number라는 range변수에 1부터 33까지의 값들이 모두 할당된 것이다.
값이 들어가는 원리:
gr_number부터 '&숫자'에 순서대로 할당된다.
&1 = gr_number
&2 = I
&3 = BT
&4 = 1
&5 = 33
gr_number의 테이블 구성은 아래와 같다.
Row | SIGN [C(1)] | OPTION [C(2)] | LOW [C(45)] | HIGH [C(45)] |
I | BT | 1 | 33 |
최대한 간결하고 효율적이며, 다른 개발자가 수정을 위해 코드를 뜯어 봐도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예쁜 코딩을 하는 날까지 계속 공부할 것이다.